방귀란?
방귀는 입으로 들어간 공기와 장내 세균이 음식물을 분해하면서 배출하는 가스가 혼합되어 항문으로 나오는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으로 건강한 성인의 가스 배출은 하루 평균 10~25회라고 한다. 보통 방귀의 냄새는 여자가 더 지독하고( 황화수소 농도가 더 높다) 양과 횟수는 남자가 훨씬 많다.
배에서 방귀 소리가 나요.
학교나 직장 또는 사람들이 많은 공간에서 배에서 방귀소리가 나서 당황했던 경험들이 한두 번은 있었을 것이다.
사람들이 많을 경우엔 내가 아닌 척 시치미를 떼면 그만이지만 몇 명 없는 공간에서 누가 봐도 나인 경우, 친하지도 않은 사이에 '이건 방귀가 아니라 배에서 나는 소리였어'라고 변명을 하기에도 참 우스운 상황이 연출된다.
배에서 나는 방귀소리의 원인은?
사람들이 많은 공간에서 내 뱃속에서 나는 소리들이 굉장히 신경 쓰이지만 사실 우리 건강에는 큰 지장이 없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이긴 하다.
▶집에서 혼자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갑자기 나오는 방귀를 자연스럽게 배출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다 보면 대부분의 방귀는 항문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참기도 하는데, 이는 배에서 나오는 방귀 소리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방귀를 참으면 복통, 어지럼증 등이 생길 수 있고 심하면 실신까지 할 수 있다고 하니 되도록 참지 말고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좋다.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을 경우에도 배속 방귀 소리나 꾸르륵 같은 소리들이 많이 난다고 한다. 평소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을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도록 심리 상태를 잘 조절하고 과민성 장 증후군을 유발하는 자극적인 음식이나 밀가루 음식, 기름진 음식들을 피하는 것이 좋다.
잦은방귀 원인
잦은방귀가 어떠한 질병을 일으키거나 전조증상은 아니다. 하지만 잦은방귀와 더불 소화불량, 오심, 구토 등의 다른 소화기 증상들과 동반될 땐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복부 초음파 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탄산음료, 맥주 같은 가스가 함유된 음식을 먹을 때, 음료를 마시는 경우 빨대를 사용하는 습관, 한숨을 많이 쉬는 경우, 음식을 섭취할 때 잘 씹지 않는 습관들도 잦은방귀의 원인이 된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 섬유질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하지만 소화과정에서 쉽게 분해가 되지 않고 대장에 도달하게 되어 장내 세균의 먹이가 되는데, 이 섬유질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한다. 섬유질을 섭취했을 경우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면 가스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식후 바로 눕게 되면 입으로 배출돼야 하는 공기가 장내 머무르면서 방귀를 늘린다. 식사 후 적어도 30~1시간 동안은 눕지 않도록 하며 먹은 음식이 소화가 되는 동안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기름진 음식, 밀가루 음식, 소화가 잘 안 되는 음식들을 섭취하는 경우에도 배에 가스가 차면 잦은방귀를 유발한다.
지독한 방귀냄새는 병 때문인가
단백질과 지방을 먹고사는 장내 세균이 발효과정에서 황화수소와 같은 물질을 생성하여 지독한 방귀 냄새를 일으킨다.
보통 먹는 음식을 조절하거나 배변 습관만 바꾸어도 방귀냄새는 좋아지기 때문에 질병의 걱정은 안 해도 된다.
▶황이 풍부한 음식은 지독한 방귀 냄새를 일으킨다. 마늘, 양파, 견과류, 고기, 달걀 등이 그러한 음식들이다.
▶유당불내증: 유당 불내증이 있는 경우 유당을 소화시키는 효소가 부족하여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유당이 대장으로 바로 이동→ 장내 세균들이 지독한 냄새를 생산하게 된다. 유당이 적게 함유된 저유당 제품을 먹으면 완화될 수 있다.
▶변비: 배변 활동이 원활하지 않으면 대변이 장에 머물시간이 길어지면서 지독한 가스를 더 생산하게 된다. 충분한 수분섭취나 유산균의 섭취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소리 없이 나는 방귀 더 지독한 냄새를 풍기나?
보통 그렇게 알고들 있지만 사실 방귀 소리와 방귀 냄새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한다.
방귀 소리는 대장에 쌓인 가스가 항문을 통해 나오면서 항문 피부와 근육이 떨리기 때문에 나는 것으로 가스의 양과 가스의 힘으로 소리가 달라진다고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절기 눈 충혈, 알레르기성 눈병 원인 및 예방법 (0) | 2023.03.15 |
---|---|
혈뇨의 원인, 암의 전조 증상이라고? (0) | 2023.03.14 |
여유증(여성형 유방) 단계, 수술 부작용 및 건강보험 적용 기준 (0) | 2023.03.12 |
여유증(여성형 유방) 원인 및 자가 진단 (0) | 2023.03.11 |
외이도 진균증(귀곰팡이)의 원인 및 증상 , 귀에서 악취가 나요 (1) | 2023.03.10 |
댓글